지역특성
한강변에 인접하고 응봉산과 달맞이 공원으로 연계된 자연환경 친화지역
금호역과 옥수역 및 강변북로와 접근성이 용이한 도로교통 편리지역
재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아파트 중심의 주거환경 개선지역
동유래
옛날 이곳에서 선철(銑鐵)을 녹여 무쇠솥, 농기구 등을 주조했으므로 무쇠막 무시막 또는 무수막이라고 했는데, 이를 한자명으로 수철리(水鐵里)라 하였다.
수철리란 동명은 현 마포구의 신수동, 구수동도 수철리라 부르고 있어서 이와 구분하여 인근 주민들이 수철리의 철(鐵)에서 금(金)을, 수(水)에서호(湖)를 인용하여 이곳을 금호, 또는 동무수막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왕십리의 배추장수와 함께 무쇠골(수철리)의 솥장수가 유명하였다.
조선초에는 한성부 성저(城底) 10리에 속했으며 영조 27년(1751)에 반포된 수성책자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의하면 한성부 남부 두모방(성외) 수철리계였으며 갑오개혁(1894) 때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수철리계의 수철리동이 되었다.
1911년 경기도령 제 3호에 의해 5부 8면제를 실시하면서 두모방은 두모면이 되어 금호동은 경성부 두모면 수철리라 했으며 1914년 경기도고시 제 7호에 의해 5부 8면제가 폐지되자 8면 중에 하나였던 두모면은 한지면에 병합되고, 금호동은 고양군에 편입되면서 한지면 수철리가 되었다. 1936년 조선총독부령 제 8호에 의해 경성부 구역확장에 따라 경성부에 편입되면서 금호정이라 하였으며 1943년 구제도 실시에 따라 성동구에 소속되었다.
1946년 일제식 동명을 모두 없앨 때 금호동이라 했으며 1964년 서울특별시조례 제 320호에 의하여 금호동을 1·2·3·4가로 분할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금호동은 성동구의 어느 동보다 지형의 기복이 심하고 경사가 많은 지대인데도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일반현황
면적 | 0.84㎢ (우리구의 5%) |
---|---|
인구 | 14,825명 (남:7,619명, 여:7,803명) |
세대수 | 6,164세대 |
통반조직 | 22통, 194반 |
주택 | 총 주택수 : 4,615(일반:1,497, 아파트:3,118,) |
법정동명 | 금호동4가 |
공공시설 및 주요시설
공공기관 | 의료시설 | 복지시설 | 금융기관 | 교육기관 | |||||||
---|---|---|---|---|---|---|---|---|---|---|---|
병의원 | 한의원 | 약국 | 경로당 | 어린이집 | 대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유치원 | ||
2 | 19 | 6 | 5 | 5 | 5 | 8 | 0 | 0 | 0 | 2 | 2 |
번지 일람표
법정동명 | 관할지역(번지/호) |
---|---|
금호동4가 | 1~1549(금호동4가 전 지번) |
동연혁
- 조선시대 한성부 남부 도모방 수철리계
- 대한제국 한성부 남서 도모방 수철리계 수철리동
- 1911.4.1 경성부 도모면 수철리
- 1914.4.1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수철리
- 1936.4.1 경성부 금호정
- 1943.4.1 성동구 금호정
- 1946.10.9 금호1,2,3.4동으로 분할(금호4가동은 금호남부동회로 호칭)
- 1955.4.18 동제도 실시로 금옥동사무소
- 1959.10.31 금옥동사무소에서 3개 동 분동 후 금남동사무소
- 1970.5.18 금남동에서 현 금호4가동으로 분동
인구 및 면적
- 인구 14,825명(남:7,185/ 여:7,640) (2014.12.31 기준)
- 면적 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