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식단 및 음식문화개선
좋은 식단이란?
- 위생적이고, 알뜰하며, 영양적으로 균형이 잡힌 식단”으로 음식점에서 자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한 권장 성격의 상차림을 말합니다.
- 주된 음식(요리)에 필요한 3~4가지의 찬류를 작은 찬기에 제공하는 간소한 상차림을 말합니다.

손님은
- 간소한 음식문화를 조성합니다.
- 음식물을 남기지 않도록 신중합니다.
- 먹지않을 음식은 미리 반납합니다.
- 남은 음식은 싸서 가지고 갑니다.
가정에서는
- 식단계획을 세워 식사량을 맞추어 조리합니다.
- 차례·혼례 시에는 음식을 간호하게 준비합시다.
- 각자가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상차림 합니다.
음식점에서는
- 밥과 국의 양을 대, 중, 소로 나누어 주문을 받습니다.
- 각자 덜어 먹을 수 있게 집게, 국자, 개인 찬기를 제공합니다.
- 위생적인 용기나 포장지를 비치하고 남은 음식은 싸가도록 권장합니다.
위생적인 식단
- 한번 제공된 음식은 재사용 안 하기(된장, 고추장 등 밑반찬 포함)
- 반찬은 개별 제공을 원칙으로 하되, 찌개류 등을 각자 덜어 먹을 수 있도록 빈 그릇 제공
- 음식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빈 그릇 별도 제공
알뜰한 식단
- 먹고 남기지 않을 만큼의 적정량 제공
- 공동 찬통 사용
- 반찬은 적정한 가짓수를 소형 찬그릇에 담아 제공
- 부족한 반찬은 고객이 원하면 추가 제공
균형 잡힌 식단
-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 제공
- 음식에 어울리는 반찬 제공
- 가급적 계절 식품 활용
집단급식소 및 일반음식점 실천사항
-
소형, 복합찬기 사용
- 찬그릇이 크면 아무래도 반찬을 많이 담게 됨
- 김치 등 찬류는 공동 찬통 사용
-
먹고 남기지 않을 만큼의 적정량 제공
- 한번 제공한 음식은 재 사용되지 않도록 먹을 만큼 개별 제공
- 반찬이 부족하여 손님이 원할 때에는 처음 제공량을 감안하여 무료로 제공
- 음식물 유형에 따른 권장 반찬 가짓수 준수
-
손님이 적정량의 반찬을 선택하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
- 음식물 유형에 따른 권장 반찬 가짓수를 적정량 제공
-
한정식은 가능한 한 순차적으로 제공
강조[100원 환불 캠페인] 운동 (권장사항)
- 소비자가 싫어하는 반찬을 선택하여 영업주에게 알려주고 그 반찬을 제외하여 식사 제공하면 빠진 반찬에 대해 100원을 환불해 주는 운동
-
위생적인 식사 분위기 조성
- 종사자에 대한 위생 및 〔좋은 식단〕 실천교육 실시
- 음식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빈 그릇〕을 별도 제공
- 종업원의 위생복 착용 및 친절한 서비스
-
기타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실천사항
- 음식물쓰레기 처리 기기를 설치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를 적정하게 처리
- 남은 음식물을 싸줄 수 있는 용기 또는 포장지 비치
- 1회 용품 사용을 억제하고 전분 이쑤시개 사용
가정에서의 좋은 식단과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
즉흥적인 상차림보다는 반드시 식단을 짜서 조리를 하자
미리 식구 수, 식사량, 열량, 영양소 등을 고려하여 일주일, 한 달 단위로 식단을 짜서 준 비하는 것이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상차림의 형태를 바꾸자
미 전통적인 상차림은 밥과 국은 식구 수 대로 차리고 반찬 등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차리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차림은 먹는 양을 조절할 수가 없고 남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자가 먹을 양만큼씩만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상차림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
설거지를 줄이는 상차림
앞서 제시한 상차림은 설거지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설거지를 줄인다면 그만큼 물을 적게 쓸 것이며 오염된 물을 덜 흘려보낼 수 있다. 이는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
음식물 찌꺼기와 수분의 분리
- 쓰레기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수질 오염의 주범이다.
- 침출수는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가 썩으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 음식물 쓰레기는 가능하다면 발효시켜 화단이나 화분의 비료로 재사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