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68
작성일 2021.01.05
성동구 1인 문화예술 미디어터 양성 | |
사업분야(마을, 교육, 복지, 경제 등) | 교육,복지 |
---|---|
사업위치 | 성동구민 대상(다문화/청년 등 1인미디어 희망자) |
사업비(예상) | 81,450천원 |
사업기간 | 2021.01-12(3차교육 15주/2시간) 총45주 90시간 |
사업목적(제안취지) |
세계의 시선이 대한민국 성동구로 모인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삶을 바꿔 놓았다. 그로인해 미디어의 필요성은 사회전반에 걸쳐 중요시 되고 확대되어가고 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미디어 콘텐츠 생산과 성동구민 의식및 생활의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다. 구청과 성동구민과의 소통, 관공서간의 회의, 소통, 자매결연한 나라(베트남 및 유럽 등)와의 문화교류 및 사업, 다문화의 언어, 문화 등 이해와 협치의 중심에는 미디어 그리고 그로인한 인식 및 지식의 전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빠르게 열면서 lym예술대통합연구소는 미디어의교육 및 실행을 구민들에게 제공함으로 스마트폰, 로봇, 드론,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등으로 대변되는 기술의 혁신을 교육 컨텐츠를 통해 21세기 스마트시대를 앞장서가는 성동구민에게 제공하며, 기술과 문화를 접목하여 21세기 신 미디어의 세상을 생산하는 성동구 의 구민들이 원하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방식으로 소통 전달하는 세계속의 성동인, 성동구민 1인 미디어터(미디어+시어터)를 양성하는 일자리 창출에 일익을 담당하는데 있다. |
사업내용 |
1)신개념의 문화예술 전문 미디어터 양성 을 위한 교육 및 실습(창업1) 2)성동구의 문화역사를 세계로 알리는것에 중심을 둔 미디어 문화관광사 양성(창업2)ㅘ 3)스마트 시티 성동의 브랜드화를 위한 1만 미디어터 양성-마을 담당 미디어터 교육 4)지역 문화예술인 과 1인미디어터의 접목으로 K아트 활성화 |
추진방법(민-관 주체 및 역할, 민-관 협력방안 등) |
1)신 개념의 전문 미디어터 강의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3차/15주=45주)실습 2)3회의 현장 실습으로 전문화 강화 3)문화예술과 의 지역 축제를 세계로 알린다 4)지역일자리 경제과와 신개념의 미디어터 양성으로 지역 일자리 해소 및 성동구 만의 미디어 브랜드 를 만들어 타시군 및 국제적으로 장을 넓힌다. |
기대효과(협치효과, 수혜범위 등) |
1)일자리 창출: 기존의 틀을 깬 새로운 직업의 창출로 성동구의 일자리경제에 활성화 효과 2)세계를 성동구에 담아내는 글로벌 문화예술 컨텐츠 개발로 청소년의 시야를 넓히는 교육 효과 3)지역예술인/다문화/청년의 일자리 창출 효과 4)미디어를 통한 국내 및 국제적(베트남.유럽 등 자매시와 교류)소통 강화 |
처리상태 | 접수 |
작성자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