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잘못된 행적을 솔직히 반성하며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구체적 약속을 공개적인 방식으로 책임성을 담아 문서로서 선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니페스토운동은 더 이상 거짓말하지 말라는 경고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따뜻한 약속과 용기 있는 실천은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성숙한 민주시민운동입니다.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16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었고, 이 단어를 오늘날 우리 사회가 쓰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의 매니페스토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5월, 4대 지방선거를 계기로 후보자들의 공약이 구체성을 띠고 있으며, 실현 가능한 “제대로 된 공약”인지 여부로 평가하는 매니페스토운동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www.manifesto.or.kr) 등 관련 단체에서 펼치고 있는 한국형 매니페스토운동은 중립적인 입장에 서서 출마자의 과거 행적을 살펴보고 그의 미래 계획을 검증해보면서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거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당선자의 약속 이행 여부를 스스로 발표하게 하고 유권자들과 함께 꼼꼼히 따져보며 다음 선거에서 선택의 기준을 삼는 것입니다.

영국 : 의회 정치의 본고장, 매니페스토 운동이 가장 먼저 시작된 나라
매니페스토의 개념을 1834년 영국 보수당 당수 로버트 필은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공약은 결국 실패하기 마련" 이라면서 구체화된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997년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매니페스토 10대 정책의 구체적 제시가 집권 성공에 결정적 역할을 한 바 있습니다.

미국 : 신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사회로
상호 계약을 합리적 토론을 통해 문서화하고 상호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시는 사회적 질타를 받아 매니페스토 운동이 정착되기에 가장 좋은 환경을 갖추었습니다. 당원들이 참여하는 지방 정당대회에서 인물만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현안을 풀어가는 방향과 정책에 대한 당원들의 치열한 토론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일본 : 영국식 모델을 근간으로 새로운 선거문화 조성
선거전 매니페스토의 배부는 선거법 위반으로 간주되었으나 2003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기간 중 매니페스토 배부가 가능해졌습니다.
후보자와 유권자가 "부탁"이 아닌 "약속"과 "계약"으로 맺어지는 새로운 선거문화를 정착시켰습니다.
성동구 매니페스토 추진성과

매니페스토 수상현황
-
4. 1.
2022년 매니페스토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 SA 최우수 등급
-
9. 9.
2021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일자리 및 소득불균형 완화 분야’ 최우수상 수상
성동에서 출발해서 1호 법안이 되다, 「성동구의 선도적인 필수노동자 보호·지원 정책」
-
6. 1.
2021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SA 최우수 등급
-
9. 10.
2020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2개분야 수상
일자리 및 고용개선 분야 : 최우수
안전자치 분야 : 우수
-
5. 26.
2020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SA 최우수 등급
-
7. 25.
2019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일자리 및 경제 분야’ 최우수상 수상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일자리포용도시 성동」
-
4. 25.
2019년 매니페스토 공약실천계획평가 SA 최우수 등급
-
4. 2.
2018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SA 최우수 등급
-
8. 10.
2017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청년 문제 해소 분야’ 최우수상 수상
함께 만드는 좋은 일자리, 좋은 사회 「청년 일자리, 소셜을 만나다」
-
7. 3.
2017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A 우수 등급
-
7. 21.
2016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사회적경제 분야’ 최우수상 수상
사회적약자의 도전·나눔·자립을 위한 창조적 공익공간 「언더스탠드에비뉴 조성」
-
7. 12.
2016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A 우수 등급
-
7. 16.
2015년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일자리 분야’ 최우수상 수상
「구민과의 첫 번째, 약속, 든든한 일자리 활기찬 경제도시 성동」
-
5. 26.
2015년 매니페스토 공약실천계획평가 SA 최우수 등급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서는 매니페스토의 더 많은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 기획예산과 기획정책팀 02-2286-5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