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경제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경제도약) 왕십리역세권 글로벌 비즈니스타운 조성계획 수립 | 100 |
(행정도약) 新행정타운 조성계획 수립 | 200 | |
(문화도약) 문화관광타운 조성계획 수립 | 400 | |
(교육도약) 미래교육타운 조성계획 수립 | 100 | |
(4대중심) 금호옥수지구 중심 발전 프로젝트 수립 추진 | 100 | |
4대중심) 마장 연결 중심 발전 프로젝트 수립 추진 | 100 | |
4대중심) 성수지역 중심 발전 프로젝트 수립 추진 | 100 | |
(4대중심) 용답, 송정 쾌적한 주거 중심 발전 프로젝트 수립 추진 | 100 | |
한전부지 내 주상복합 및 공원, 도서관, 공공복합청사 등 주민친화시설 확보 | - | |
주민 뜻대로 주거환경개선 추진 | 1,905 | |
근대건축물 보전 및 리모델링 지원 확대 | 600 | |
저층 주거지 주택관리(주민자치회 활용) 지원 | 80 | |
송정동 도시재생사업 지원 및 주거환경개선 지원 | 7,008 | |
사근동 도시재생사업 지원 | 10,000 | |
지상철도 지하화 추진 | - | |
성수디자인융합 산업특구 지정 추진 | 100 | |
IT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 활성화 | 200 | |
글로벌 ESG 스타트업밸리 조성 | 580 | |
세계적 수준의 대기업, 유니콘 기업 유입확대 | 350 | |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지원 확대 | 1,000 | |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 지원 확대 | 350 | |
"메이드인 성동" 육성으로 소상공인 지원 | 6,135 | |
왕십리무학봉상점가 활성화 지원 | 30 | |
행당시장 맛집거리 조성 및 보행환경 개선 | 25 | |
마장축산물시장 현대화 및 환경 개선 | 90 | |
금남시장 시설현대화 | 23 | |
금남시장 시설현대화 | 23 | |
뚝섬역상점가 활성화 지원 | 299 | |
성수역골목형상점가 활성화 지원 | 25 | |
용답상가시장 활성화 지원 | 160 |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청년공유공간 팩토리얼 조성 | 20 | |
패션봉제산업 활성화를 위한 앵커시설 (설립) 기반조성 | 110 | |
상생형, 맞춤형 일자리 35,000개 창출 | - | |
소셜벤처 허브센터 성장단계별 맞춤형 육성사업 확대 | 245 | |
사회적경제활성화기금 조성 확대 | 2.400 |
교육 보육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왕십리 뉴타운 중학교 설립 | - |
금호동 지역 중학교 설립 추진 | - | |
성수동지역 중고등학교 적정규모 학교 육성 | - | |
고등학교 성비 불균형 해소 추진 | - | |
서울 최고 수준의 유, 초, 중, 고 교육경비 지원 확대(80억->120억) | 48,500 | |
무학초등학교 노후 인조잔디 운동장 환경개선 | 600 | |
금북초등학교 노후 인조잔디 운동장 환경개선 | 300 | |
행당초등학교 시설 개선 지원 | 60 | |
성수초등학교 환경개선 지원 사업 | 90 | |
용답초등학교 환경개선 지원 사업 | 90 | |
행현초등학교 도서관 확충 | 329 | |
무학중학교 화장실 등 시설개선 사업 지원 | 600 | |
무학여고 진로진학 프로그램 지원 | 70 | |
친환경 급식 지원으로 안전한 먹거리 보장 | 1,036 | |
글로벌 체험센터 확대 | 297 | |
영유아 대상 영어교실 프로그램 운영 지원 | 488 | |
아이사랑복합문화센터 추가 건립 | 5,800 | |
독서당인문아카데미 이어 평생학습관 건립 및 프로그램 운영 확대 | - | |
안심 보육환경 조성으로 보육특구 지속 추진 | 55,639 | |
보육교사 1인당 전담 아동비율 감소 추진 | 917 | |
보육시설 이용 영유아 대상 미아방지 NFC 지원 | 190 | |
어린이집 전담 간호사의 정기적 건강관리와 보건교육으로 건강 증진 | 560 | |
성동구 아이들을 위한 육아상담 지원 | 690 | |
성동형 초등돌봄센터 아이꿈누리터 확대 운영 | 10,386 | |
바쁜 부모 대신하는 아픈 아이 병원동행서비스 확대 | 441 | |
어린이 꿈공원 놀이터 확충 | 1,800 |
복지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금호동 복지관 건립 | 5,500 |
더 신나는 일상을 위한 노인복지센터 지속 확충(용답동) | 4,922 | |
더 신나는 일상을 위한 노인복지센터 지속 확충(송정동) | 2,390 | |
더 쾌적한 경로당을 위한 시설현대화 사업 확대 | 1,184 | |
어르신 낙상예방 안전용품 지원 | 30 | |
혼자 사는 어르신의 고민 해결을 위한 소원성취함 운영 | 50 | |
다양한 어르신 일자리 지원 확대 | 36,853 | |
어르신 맞춤형 놀이터 및 산책로 조성 | 300 | |
성동미래일자리(주) 운영을 통한 어르신 일자리 지원 확대 | - | |
장애인 친화 이·미용실 설치 | 20 | |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 418 | |
장애인 돌봄 지원 사업 확대 | 79,749 | |
장애인 일자리 창출 지속 추진 및 확대 | 8,570 | |
청각·언어 장애인 문화여가공간 '농아인쉼터' 지원 | 631 | |
발달장애인 실종 예방 위한 스마트 인솔 사업 지속 추진 | 175 |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IoT 관리 시스템 운영 지속 추진 | 71 | |
장애인 전동보장구 보험 지원 | 245 | |
발달장애인 특화 도서관 조성 | 506 | |
저소득 한부모 유급 자녀돌봄휴가 지원 | 352 | |
경력보유여성을 위한 돌봄 경력인정서 발급 계속 추진 | 67 | |
경력보유여성 맞춤형 취·창업 및 지원사업 확대 | 48 | |
여성청소년 및 만24세 이하 저소득 여성 생리용품 구입비용 지원 | 3,450 | |
보편적 산후조리비용 지원 | 2,660 | |
임산부 생활밀착 가사돌봄서비스 확대 | 1,185 | |
임산부 생활밀착 서비스 확대(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 536 | |
임산부 생활밀착 산모건강교육 서비스 | 270 | |
여성, 아동 전문병원 유치 | - | |
반려동물 친화 놀이터 확대 | 100 | |
반려동물 행동교정 프로그램 운영 확대 | 72 | |
저소득층 반려동물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지원 | 60 | |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계속 추진 | 500 | |
스무 살 성동에 살아요, 성년출발지원금 지속 추진 | 1,779 | |
생애 첫 성동구 전입신고 환영하는 첫 독립 이용권 지원 | 525 | |
'자기만의 방' 청년 1인가구, 프리랜서 사무공간 지원사업 추진 | - | |
성동청년지원센터 및 서울청년센터 '성동오랑' 운영 확대 | 3,848 | |
혼자 사는 청년(1인 가구)을 위한 반값 부동산 중개수수료 지원 서비스 계속 추진 | - | |
성동한양 상생학사 확대 | 884 | |
취약계층 1인가구 고독사 예방사업 확대 추진 | 3,110 | |
엄지척 세탁서비스 계속 추진(고시원 등에 사는 1인가구에 무료로 빨래 수거, 세탁, 배달) | 570 | |
보건의료 특화 1인가구 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 2,708 | |
청년 1인가구 운동, 정서, 생활관리프로그램 지원하는 이음건강 추진 | 5 | |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상위단계 인증에 따른 아동친화환경 강화 | 196 | |
논골새싹어린이공원 환경개선 | 161 | |
달맞이근린공원 어린이놀이터 정비 및 경관 개선 | 250 | |
송정동 어린이놀이터 개보수 및 확대 | 150 | |
UN이 인정한 효사랑 건강주치의 확대 | 3,013 | |
어르신 특화 준공영 치과 지원 | 60 | |
성수이로 주변 금연거리 조성 | - | |
한양대 캠퍼스 내 1인가구 행정지원센터 설치 | 65 | |
한양학원(한양대, 한양여대) 학생 및 종사자 안전과 편의를 위한 지역사회 적극 협력 | - | |
구민안심 3종(상해, 자전거, 풍수해) 보험 가입 지속 추진 | 1900 | |
필수노동자 기금 조성으로 지원 기반 조성 | 500 | |
필수노동자 기금 조성으로 지원 기반 조성 | 150 |
문화 체육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옥수동 두모포 페스티벌 확대 운영 | 920 |
서울숲재즈페스티벌 확대 운영 | 249 | |
응봉산 개나리 축제 확대 운영 | 235 | |
제1회 서울숲 힙합 페스티벌 개최 | 900 | |
공공복합문화공간 책마루도서관 조성 확대 | 29 | |
구립도서관 확충 사업 | 1,580 | |
작은도서관 확충 사업 | 120 | |
출퇴근길 지하철역에서 만나는 스마트 도서관 확대 | 440 | |
숲속도서관 확대 | 1,580 | |
지역 소규모 서점 지원으로 독서문화 및 주민편의 증진 | 356 | |
옥수동 주민센터 도서관 운영 시간 연장 | - | |
살곶이체육공원 시설 전면 개선 및 종목별 전용구장 확충 | 4,900 | |
살곶이 물놀이장 재개장 | 1,180 | |
서울숲 복합문화체육센터 신규 운영 | 17,637 | |
왕십리뉴타운 지역 농구장 설치 | 2 | |
금호스포츠센터 배드민턴 전용구장 조명 추가 설치 등 시설 개선 | 110 | |
구민 주도 생활체육 활성화 지원 확대 | 3,155 | |
왕십리역 광장 환경 개선 | 1,100 | |
옥수역 고가 하부 공공문화공간 다락옥수 프로그램 확대 개편 | 560 | |
소월아트홀 프로그램 운영 확대 | 1,100 | |
성동구민의 문화향유의 전당 성동문화원사 설치, 운영 | - | |
스마트 문화도시 지정 추진 | 22,000 | |
글로벌 K-컬쳐스쿨 유치로 한류교육산업 거점도시 구축 | - | |
청소년 어울림 마당 및 동아리 지원 확대 | 193 | |
한강 자연친화 문화공간 조성 지원 | 2,500 | |
응봉동193번지 빗물펌프장 유수지 복개 공사 후 공원조성 및 체육시설 설치 | 14,030 |
환경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구민에게 더 좋은 서울숲 조성 | 1,490 |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및 공원 조성 | - | |
대현산 내 공공시설 환경 개선 | 100 | |
대현산배수지공원 노후시설 개선 | 100 | |
옥수동, 매봉산 한강조망 경관산책로 조성 및 생활체육시설 설치 | 400 | |
대현산 장미특화거리 조성 사업 | 200 | |
은하수공원 나무심기 및 편의시설 정비, 확충 | 110 | |
응봉산 개나리 경관개선 | 550 | |
무학봉길 배롱나무 특화거리 조성 | 30 | |
왕십리문화공원 환경개선 및 쉼터 조성 | 257 | |
한강-중랑천-청계천을 잇는 중랑천변 튤립 등 산책 꽃길 확대 | 5,000 | |
송정동 벚꽃, 장미꽃, 유채꽃길 지속 관리 | 5,000 | |
용답꽃공원 환경개선 및 용답동 내 공원녹지 시설정비 | 200 | |
한강공원 연계 둘레길 수림대 정비사업 | 50 | |
성수2가3동 관내 5개 소공원 환경개선 | 690 | |
응봉역 회전교차로 교통섬 녹지 및 경관 개선 | 50 | |
마장축산물시장 현대아파트 앞 주차장 공원화 | 800 | |
마장동 먹자골목 불법점유 문제 해소 | 1,300 | |
중랑물재생센터 현대화 및 구민 친화 환경 조성 | 15,500 | |
전농천 악취저감해소(완료) 및 주민친화공간 조성하여 전농천 하천 복원 | 4,657 | |
청계천-중랑천변 보행환경 개선 | 3,500 | |
송정제방길 개선 및 보도 포장 | 700 |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친환경 자동차 구매지원 사업 확대 | 1,500 | |
성동형 지역상생 탄소배출 포인트 도입 | 150 | |
전기차량 충전 인프라 강화 | 269 | |
미세먼지 저감 위한 벽면녹화사업 | 100 | |
생활폐기물 감량을 통한 자원순환도시 조성 | - | |
푸르미재활용정거장 운영으로 분리배출 문화 확산 | 4,059 | |
성동형 커피박 재활용사업 추진 | 1,610 | |
재활용아이스팩 지원사업, 사물인터넷 스마트 종이팩 수거함 확대 | 239 | |
금호23가동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 이동식 CCTV설치 | 30 | |
송정동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 이동식 CCTV설치 | 30 | |
매봉산 해충, 방제 강화 | 12 | |
성수동 일대 청소 강화 및 환경 개선 | 3,724 |
안전 교통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장터길 도로확장 사업 2단계 추진 | - |
장터길(금호역 앞)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 | 100 | |
교차로 안심우회전 교통안전시설 설치 | 200 | |
마을버스 03-1번 증편 | - | |
마을버스 03-2번 노선 연장 | - | |
응봉파출소 앞 횡단보도 설치 | 600 | |
한남하이츠 주변 교통안전시설 강화 | 20 | |
옥수동(래미안리버젠아파트 부출입구)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 200 | |
옥수동(극동아파트 주출입구) 횡단보도 개선 | 70 | |
대림창고 사거리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 | 100 | |
뚝섬역 교차로 교통안전시설 강화 | 100 | |
성수역 주변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 30 | |
서울숲길 일대 교통체계 개선 | 50 | |
금호사거리 일대 교통 소통 개선 | 50 | |
성수대교 북단 교차로 개선 | 100 | |
성수동 이마트 주변 원활한 교통체계 개선 | 20 | |
가람길 교통체계 개선 및 교통안전시설 정비 | 170 | |
응봉역 지하철 출구 신설 계속 추진 | 4,000 | |
왕십리역 6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설치 | 3,000 | |
금호옥수-강남 직결 순환버스 신설 | - | |
용비쉼터 자전거 이동수리센터 운영 | - | |
왕십리로, 광나루로 횡단보도 등 교통안전시설 설치 | 400 | |
뚝섬역(지하철) 환경개선 | 1,000 | |
옥정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43 | |
마장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54 | |
동명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23 | |
응봉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36 | |
무학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30 | |
행현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30 | |
금북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44 | |
성수초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 53 | |
금호1가동 일대 공영주차장 조성 | 2,000 | |
사근동 공영주차장 증설 | 300 | |
성수2가3동 내 공영주차장 증설 | 170 | |
송정동 공영주차장 증설 및 비상소화장치 설치 | 300 | |
용답동 공영주차장 증설 | - | |
응봉동265번지 공영주차장 증설 및 비상소화장치 설치, 도로 개선 | 2,000 | |
오토바이(이륜차) 상시 단속 체계 구축 | 242 | |
용답동(장한평역 일대) 도로 확장 | - | |
아차산로17길 보행환경 개선 | 50 | |
연무장길 주변 보행 편의시설 확충 | 20 | |
응봉교 경관조명 설치 | 500 | |
송정14길 양방향 도로 설치 | 500 | |
무학여고 교차로 도로 확장 | - | |
용비교(강변북로 진입로) 도로 구조 개선 | 200 | |
왕십리로31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170 | |
난계로4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800 | |
행당로6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405 | |
행당로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500 | |
금호산8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525 | |
무수막18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70 | |
독서당59길 오르막길 도로열선 설치 | 600 | |
하왕십리 공영주차장-KCC스위첸아파트 구간 보행환경 개선 | 70 | |
왕십리로, 광나루로 확장 | - | |
아뜰리에길(카페거리) 환경 개선 | 950 |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앞 전선 지중화 사업 추진 | 5 | |
전선 지중화 사업 계속 추진 | 24,085 | |
삼부아파트-왕십리역 구간 미관 개선 | 50 | |
5호선 행당역 지하철 환기구 개선 | 550 | |
지하철 옹벽 환경개선 사업 추진(용답동) | 495 | |
한양광장 주민사랑방 설치 | 1,480 | |
성수문화복지회관 주차장 개방 | - | |
전기 이륜차 활성화로 소음 저감 | 185 | |
통행불편 전신주 이설 적극 추진 | 102 |
소통 생활밀착
(단위: 백만원)
재원조달 | 재원소요 | |
---|---|---|
|
구청장 문자전용 휴대전화를 활용한 구민중심 적극소통 | - |
구청장과 대화의 날 정기운영 | - | |
가장 든든한 이웃 성동구 토요민원실 확대운영 | - | |
(구)왕십리2동 주민센터 주민편익시설로 조성 | 172 | |
(구)사근동 주민센터 주민편익시설로 조성 | 2,000 | |
송정동 공공복합청사 건립 | 22,096 | |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우리마을 지원사업) 계속 추진 | 128 | |
마을자치지원센터 운영 계속 추진 | 1,483 | |
주민자치사업 기획 및 지원하는 주민사업단 계속 추진 | 903 | |
성동형 주민자치회 운영 확대 및 주민총회 전 동 시행 계속 추진 | 5,213 | |
동 단위 계획형 시민참여 예산 실행사업 계속 추진 | 1,233 | |
민관협치 기반 지역사회 혁신계획 실행사업 계속 추진 | 3,445 | |
공동주택 시설개선 지원사업 추진 | 7,000 | |
공동체 활성화 지원 확대 | 1,795 | |
골목길 특수형광물질 도포사업 추진하여 범죄 예방 | 50 | |
성동 샘물창고 확대 운영 | 1,190 | |
스마트 횡단보도 지속 확충 | 300 | |
어린이, 학생 통학차량 안심승하차존 조성 | 8 | |
성동형 스마트 빗물받이 도입 | 105 | |
성동구민청(성동형 리빙랩) 운영 | 360 | |
성동형 스마트쉼터 확대 설치 | 1,350 | |
주민소통의 날 '생활밀착의 날' 계속 추진 | 420 | |
경의중앙선 응봉-행당-마장 구간 방음시설 설치로 소음 저감 | - | |
배달전문 음식점 주방공개 운영 확대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