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사진
서울시 지정문화재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 소재지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미타사 금보암(옥수동)
  • 지정번호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7호
  • 지정일2017. 10. 12
  • 제작연대조선시대

소개

미타사 금보암에 봉안된 높이 35cm의 소형 불상으로, 독특한 자세, 화려한 보관, 전신을 덮은 영락 장식 등이 특징적이다.
자세는 고려후기와 조선전기에 유행한 윤왕좌(輪王坐)를 취하고 있다. 어깨에 천의를 두르고 화려한 영락에는 두 가닥의 띠가 걸려 있는데, 이와 같은 가는 띠는 티베트계 명대 보살상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북경 법해사 수월관음도, 1443년) 또한 화불이 있는 보관에 꽃모양의 큰 귀걸이, 영락으로 뒤덮인 신체 표현 등은 기본적으로 티베트 불상의 영향이 반영되어 조선전기에 유행한 요소로(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관음보살좌상) 미루어 보아, 조선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발원문은 남아있지 않으나, 보살상 내에서 발견된 개금발원문(1862년)과 일제강점기 미타사 재산대장(조선총독부관보 제1819호, 1933년)이 남아있어 최소한 19세기 중반부터 미타사에 봉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윤왕좌의 보살상으로는 드문 예로, 조선전기 윤왕좌 보살상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오시는 길